국민행복카드 발급 받고 혜택 받기
국민행복카드는 정부에서 발급하는 바우처로 카드 한장만으로 다양한 17종의 국가복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카드로 발급 방법 및 사용처 등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국민행복카드란 신청
신청대상
국민행복카드는 임신, 출산,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저귀, 조제분유 지원, 아이돌봄서비스, 에너지 바우처, 생리대 바우처 등을 지원받을 수 있는 바우처로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아래 나에게 맞는 바우처 자동찾기 서비스를 통해서 간단한 생년월일과 가구원수 등을 선택하고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바로 확인할 수 도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 지원내용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국민행복카드 지원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서비스 | 지원대상 | 내용 |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 임신확인서로 임신이 확진된 건강보험 가입자 또는 피부양자 중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신청자 | 자세히 보기 |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 만 19세 이하 산모로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신청자 | 자세히 보기 |
사회서비스사업 9종 | 노인, 장애인, 출산가정 등 사업별 상이 | 자세히 보기 |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 중위소득 40%(최저생계비 100%) 이하 저소득층 영아(0~24개월) 가구 | 자세히 보기 |
에너지바우처 지원 | “생계, 의료, 주거, 교육”급여 수급자로서 노인, 영유아, 장애인, 임산부, 중증/희귀/중증난치질환자, 한부모가족, 소년소녀가정 (가정위탁보호아동) 포함 세대 | 자세히 보기 |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 중위소득 120% 이하의 양육공백이 발생하는 가정 (취업한부모, 맞벌이가정, 다자녀 가정 등) | 자세히 보기 |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 생계· 의료· 주거· 교육 급여 수급자, 법정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지원대상자에 해당하는 만11세~만18세 여성청소년 | 자세히 보기 |
보육료 지원 |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만 0~5세 | 자세히 보기 |
유아학비 지원 | 국·공 ·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만 3~5세 | 자세히 보기 |
첫만남이용권 지원 | 2022년 1월 1일 출생아동 부터 최초 1회 200만원 바우처지원 | 자세히 보기 |
국민행복카드 발급방법
국민행복카드 발급은 은행에 직접 방문해서 신청해도 되고, 각 은행별 온라인 홈페이지 또는 전화를 통해서서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카드사 | BC카드 | 롯데카드 | 삼성카드 | KB국민카드 | 신한카드 |
온라인 신청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전화 신청 | ☎ 1899-4651 | ☎ 1899-4282 | ☎ 1566-3336 | ☎ 1599-7900 | ☎ 1544-8868 |
은행을 통해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으신 후 원하시는 바우처 서비스를 은행 홈페이지 또는 각 영업점 방문을 통해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 사용처
바우처 서비스 | 사용처 |
건강보험 임신ㆍ출산 진료비 지원 | 지정요양기관 폐지(2019.1.1.)로 모든 요양기관에서 사용 가능 |
청소년산모 임신ㆍ출산 의료지 지원 | 지정요양기관 폐지(2019.1.1.)로 모든 요양기관에서 사용 가능 |
산모ㆍ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 제16조 제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9조에 따라 등록한 제공기관 |
기저귀ㆍ조제분유 지원 | 오프라인)중소기업청에서 운영하는 나들가게(www.nadle.kr) (온라인)우체국쇼핑몰(mall.epost.go.kr) |
에너지바우처 지원 | 지정된 에너지 판매처(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유, 연탄, LPG 등) |
아이돌봄 지원 | (온라인) 아이돌봄 서비스 홈페이지(www.idolbom.go.kr) |
첫만남이용권 지원 | 2022년 1월 1일 출생아동 부터 최초 1회 200만원 바우처지원 |
국민행복카드 혜택
바우처 서비스 | 지원혜택 | 상세보기 |
---|---|---|
건강보험 임신·출산 진료비 지원 | 임신 1회당 60만원 이용권(국민행복카드, 고운맘카드) 지원 (다태아 임산부는 100만원 지원) | 보기 |
청소년산모 임신·출산 의료비 지원 | 임신 1회 당 120만원 범위 내. 임신부가 산부인과 병·의원에서 임신 및 출산과 관련하여 진료 받은 급여 또는 비급여 의료비 | 보기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 소득분위 및 태아수에 따라 450,000원부터 ~ 최대 1,620,000원 지원 | 보기 |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 기저귀 지원 : 월 64,000원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 월 150,000원 ※ ’22년 하반기 바우처 단가인상으로 인해 ‘22.8.1 이후 생성분은 기저귀(70,000원) 및 조제분유(90,000원) 적용 | 보기 |
에너지바우처 지원 | 1인 세대 : 149,800원(여름:31,300원/겨울:118,500원) 2인 세대 : 205,700원(여름:46,400원/겨울:159,300원) 3인 세대 : 292,500원 (여름:66,700원/겨울:225,800원) 4인 이상 세대:379,600원 (여름:95,200원/겨울:284,400원) | 보기 |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 | 영아종일제 : 소득유형에 따라 월 36 ~ 91만원 지원 시간제 : 소득유형에 따라 시간당 1,625 ~ 4,875원 지원 | 보기 |
여성청소년 생리대 바우처 지원 | 여성청소년 생리대 구매비용 연 최대 144,000원 지원(‘22.1~6월) 여성청소년 생리대 구매비용 연 최대 156,000원 지원(‘22.7~12월) 2022년 하반기 바우처 단가인상으로 인한 추가 지원 실시 | 보기 |
첫만남이용권 지원 | 2022년 1월 1일 출생아동 부터 최초 1회 200만원 바우처지원 |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