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바로 조회하기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국민연금을 납부하고 계실텐데요.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조회를 통해 내가 미래에 받을 수 있는 예상 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고, 모의 계산등을 통해서도 대략적인 수령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국민연금 수령나이
국민연금은 출생연도에 따라서 수급개시 연령이 달라지게 되고, 연금 종류에 따라서도 수령 나이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출생연도 | 노령연금 | 조기노령연금 | 분할연금 |
1952년생 이전 | 60세 | 55세 | 60세 |
1953~56년생 | 61세 | 56세 | 61세 |
1957년~60년생 | 62세 | 57세 | 62세 |
1961~64년생 | 63세 | 58세 | 63세 |
1965년~68년생 | 64세 | 59세 | 64세 |
1969년생 이후 | 65세 | 60세 | 65세 |
- 노령연금 :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고 60세(수급연령 상향규정 적용 : 60~65세)가 된 때에 기본연금액과 부양가족연금액을 합산하여 평생 동안 지급하는 연금
- 조기노령연금 :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이고 55세(수급연령 상향규정 적용 : 55~60세) 이상인 사람이 소득 있는 업무에 종사하지 않는 경우에 본인이 신청하면 60세(노령연금 수급개시연령) 전이라도 지급받을 수 있는 연금
- 분할연금 : 분할연금은 이혼한 자가 배우자였던 자의 노령연금액 중 혼인기간에 해당하는 연금액을 나누어 지급받는 연금으로 이 경우 혼인기간 중 국민연금보험료 납부기간이 5년 이상이어야 합니다.
국민연금 수령액 조회하기
아래를 참고하면 본인의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1. 국민연금 홈페이지 접속
간단하게 국민연금 관리공단 홈페이지에서 내 연금 알아보기 항목을 통해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할 수 있습니다.
2. 예상연금액 조회 클릭
국민연금 홈페이지 상단 메뉴중 [전자민원] – [개인민원] 서비스를 이용하면 국민연금 예산 수령액 및 모의 계산서비스를 통해서 금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단에 있는 예상연금액 조회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3. 공인인증서 로그인
공인인증서(공동인증서)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합니다.
4. 국민연금 예상연금액 알아보기 클릭
국민연금 가입내역조회, 예상연금액 조회, 예상연금 모의계산 메뉴들 중에서 예상연금액 조회 메뉴를 클릭하고 서비스 항목 팝업창에서 왼쪽 국민연금 예산연금액 알아보기 메뉴를 클릭합니다.
5.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조회
본인인증 과정을 정상적으로 거쳤다면 현재가치 예상연금액과 미래가치 예상연금액 까지 본인의 국민연금 예상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납부액 조회
연금 수령액은 국민연금 가입 기간동안 납부한 보험료 등에 따라 차등산정되는데 본인의 납부기가관 납부액 또한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 전자민원 ▶ 개인민원 ▶ 개인로그인 ▶ 개인서비스 조회 ▶ 가입내역조회 메뉴를 통해서 확인 가능하고 세부내역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생활&지원금 정보 더보기+
임산부 교통비 지원 2023 정부지원금(임산부, 출산 육아 지원금)